nas4free를 사용하는 방법은 대략
1. 시디로 부팅해서 쓴다.
2. USB로 부팅해서 쓴다.
3. 하드디스크에 설치해서 쓴다.
본 포스트에서는 구운 CD나 USB를 이용해서 하드디스크에 설치해 보자.
부팅을 하자.
시디를 넣고(USB를 꽂고) 해당 매체로 부팅을 시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워낙 순식간에 지나가서 이 화면을 놓칠수도 있으나 분명이 존재하는 화면이다.
조금 기다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nas4free를 쓰면 이 화면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기능이 다 동작하는구나 생각할 수 있다.
우선 시작 전에
하드디스크에 설치 작업을 진행하면 기존 하드 내용이 모두 사라지게 된다고 생각하라.
그냥 nas4free 머신인 것이다.
9번 메뉴를 골라보자. 숫자패드의 '9'를 누르고 엔터!
옵션이 나온다.
하드에 설치할 것이므로 '1' 선택
원본을 고르는 화면.
여기서는 시디롬을 선택한다.
USB로 부팅한 경우에는 USB를 선택하면 된다.
nas4free를 설치할 곳을 선택한다.
하드디스크를 선택하자.
스왑 파티션 용량을 적어준다.
스왑은 컴퓨터가 임시로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따로 마련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도우 사용시 보유한 램의 1.5배 정도를 적당하다고 본다.
nas4free는 1기가 또는 그 이상을 추천한다.
다시 설치/업그레이드를 고를수 있는 옵션창이 나온다.
'Exit'
첫 화면이 나온다.
이제 하드디스크에 설치되었으니 하드디스크로 부팅하기 위해 컴퓨터를 꺼보자.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서버 만들기 (메일서버) (0) | 2017.01.15 |
---|---|
우분투 서버 만들기 (XE설치) (0) | 2017.01.15 |
nas4free 웹설정 (0) | 2017.01.15 |
우분투 서버 만들기 (APM설치) (0) | 2017.01.15 |
우분투 설치 후 4단계 (0) | 2017.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