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우분투 서버 만들기 (XE설치)

$sudo apt-get install mysql-common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sudo apt-get install apache2
$sudo apt-get install php5
$sudo apt-get install php5-mysql
$sudo apt-get install php5-gd

 

$sudo apt-get install mysql-common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sudo apt-get install apache2
$sudo apt-get install php5
$sudo apt-get install php5-mysql
$sudo apt-get install php5-gd

 


$sudo apt-get upgrade //기존 패키지 Up
$sudo apt-get update //새로운 패키지 정보 Up

 

1. 아파치 작동 확인

-.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localhost/ 입력해 다음 메세지가 나오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겁니다.

 

Code:
It works!
This is the default web page for this server.
The web server software is running but no content has been added, yet.

2. PHP 작동 확인
-. 아래 명령어 실행
$ sudo gedit /var/www/phpinfo.php
-. 아래 코드 입력 후 저장
<?php phpinfo(); ?>
-. 브라우저 주소 창에 아래 주소입력
http://localhost/phpinfo.php

3. 메일서버 설정

zbxe의 메일 인증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분투 웹서버에 메일 발송을 위한 메일서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리눅스의 메일발송은 sendmail이지만 우분투는 postfix입니다.
설치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sudo apt-get install postfix
$ sudo dpkg-reconfigure postfix

*General type of Configuration?
->Internet Site
*Where should mail for root go
->yalri012(관리자 계정)
*Mail name?
->yalri.com(메일주소의 @이후의 부분

1. XE 다운로드 및 설치

sudo -s

비밀번호 입력 (root 권한으로 변경)

아래 명령어 입력 후 다운로드 및 설치

-. 단, 하기 실행 전 SVN 반드시 설치

 

root@server:/# cd /

root@server:/# svn co http://xe-core.googlecode.com/svn/trunk /var/www/

-. 이 후에는 새로운 버전이 나올 때 마나 터미널에서 zbxe가 설치된 폴더로 이동하여 svn up만 실행되면 손쉽게 업데이트

 

다시 터미널에서 경로를 루트로 이동합니다.

다음에 zbxe가 설치된 폴더의 퍼미션(접근권한)을 설정해야 합니다

 

root@server:/# cd /

root@server:/# chmod 777 /var/www/

 

2. 아파치2 설정

-. 아파치 설정파일의 경로는 /etc/apache2 입니다

root@server:/# gedit /etc/apache2/sites-available/default

 

-. default 파일의 내용중에서 노란 표시된 부분을 zbxe가 다운로드된 폴더로 변경하고

-. rewrite 모드 사용을 위해 AllowOverride None을 AllowOverride All로 변경하고 저장하세요.

 

<VirtualHost *:80>
ServerAdmin webmaster@localhost

DocumentRoot /var/www

<Directory />
Options FollowSymLinks
AllowOverride All
</Directory>
<Directory /var/www/>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MultiViews
AllowOverride All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irectory>

 

 

* 참고로 서버 주소를 바꾸려면 다음처럼 입력후 bind-address 라인의 IP주소를 바꿔주시면 됩니다.
$ sudo gedit /etc/mysql/my.cnf
bind-address = 127.0.0.1 # 기본설정은 localhost

 

-. 다음으로 rewrite 모드 사용을 위해서 다음을 실행합니다.
root@server:/# a2enmod rewrite

-. 아파치를 재 시작합니다.
/etc/init.d/apache2 restart


 

4. MYSQL 설정 

1)데이터베이스 만들기

MySQL에 root로 로그인
~$mysql -u root -p
DB를 생성
mysql> create database DB명; (세미콜론을 꼭 입력하세요. create database xe;)
DB가 만들어 졌는지 목록을 확인
mysql> show databases;
mysql> exit
~$sudo /etc/init.d/mysql restart


2)mysql환경을 UTF-8로 변경 (안해도 됨)
~$sudo gedit /etc/php5/apache2/php.ini 에서 캐릭터셋 수정
/*------------
;default_charset = "iso-8859-1"
default_charset = "utf-8"

~$sudo gedit /etc/mysql/my.cnf 에서 캐릭터셋 수정
/*------------
[client]
#password = your_password
default-character-set=utf8

[mysqld]
init_connect=SET collation_connection = utf8_general_ci
init_connect=SET NAMES utf8
default-character-set=utf8
character-set-server=utf8
collation-server=utf8_general_ci

 

~$sudo /etc/init.d/mysql restart

 

5. xe설치

$svn checkout http://xe-core.googlecode.com/svn/trunk/ var/www/zbxe 

<li>XE Core </li> <li>XE Textyle(Blog Module) </li> <li>XE Forum </li> <li>XE Board </li> <li>XE Wiki </li> <li>XE Cafe(Virtual Site Package, Requires Board Module, For Community Site) </li>

 

제로보드XE가 설치된 폴더가 /var/www/ 라면 www 폴더에 퍼미션을 설정
~$cd /var
~$sudo chmod 707 www

 

root@server:~# chmod 777 /xe/addons
root@server:~# chmod 777 /xe/layouts
root@server:~# chmod 777 /xe/m.layouts
root@server:~# chmod 777 /xe/modules
root@server:~# chmod 777 /xe/themes
root@server:~# chmod 777 /xe/widgets
root@server:~# chmod 777 /xe/widgetstyles

 

xe 설치 폴더 /var/www 로 이동 후

index.html 파일 삭제

index.php 파일 그대로 두기

 

 

 

 


2)설정
/var/www/ 폴더 안에 있는 index.html 파일을 삭제
~$cd /var/www
~$sudo rm index.html
웹브라우저 주소에 http://localhost/index.php 입력
라이선스 동의
필수 설치조건 확인하고 설치를 진행
FTP 정보 입력 (무시해도 됨. 나중에 할 수 있음) 하고 설치를 진행
DB선택 (MySQL) 하고 설치를 진행
DB & 관리자 정보 입력
DB 아이디 입력 (MySQL 아이디, 기본 : root)
DB 비밀번호 (MySQL 설치시 입력한 root 비밀번호)
DB 데이터베이스 (MySQL 에서 생성한 DB명)
...
아이디 입력 (XE 관리자 아이디, 기본 : admin)
비밀번호 입력 (XE 관리자 비밀번호)
...
rewrite mode 사용 체크 하고 등록

관리자 페이지 로그인
(http://localhost/?module=admin) 또는 (rewrite mode 사용시 - http://localhost/admin)
설치 끝

 

 

 

6.SSH
1)설치
~$sudo apt-get install ssh

2)셋팅
~$sudo gedit /etc/ssh/sshd_config
Port 22 #다른 포트로 변경
PermitRootLogin yes #원격에서 루트로긴 금지하려면 no로 변경
저장 후
~$sudo /etc/init.d/ssh restart

 


7. FTP 설치 ­ 파일 전송을 위한 필수 프로토콜

sudo apt-get install vsftpd
/etc/vsftpd.conf 를 엽니다.
anonymous_enable=NO // 아무나 접속하는 걸 막습니다.
local_enable=YES
write_enable=YES
앞에 # 주석을 뗍니다. 사용자 계정으로 읽기 쓰기가 되도록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local_umask=022
이것도 #을 뗍니다. ftp에 쓸 때 파일에 처음 주는 권한인데 수정과 편집을 반복한다면 777로
바꿔도 무방합니다.
사용자가 root까지 접속하지 못하도록 하려면
chroot_local_user=YES
chroot_list_enabled_YES
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도 #을 뗍니다.

여기서 그만두면 FTP로 접속시
500 OOPS: could not read chroot() list file:/etc/vsftpd.chroot_list

sudo gedit /etc/vsftpd.chroot_list 를 입력해 파일을 만들고 사용자 계정을 적습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서버 만들기 (FTP설치)  (0) 2017.01.15
우분투 서버 만들기 (메일서버)  (0) 2017.01.15
nas4free 하드디스크에 설치하기  (0) 2017.01.15
nas4free 웹설정  (0) 2017.01.15
우분투 서버 만들기 (APM설치)  (0) 2017.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