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AS

트랜스코딩 Transcoding이란

Transcoding이란
쉽게 이해할수 있습니다.
현재 가지고 있는 패드.폰등에서  영화를 서버에 접속해서보고 싶은데 패드.폰등에서 지원하는 영화파일형식은 정해져있습니다.


대표적인 파일이MP4입니다.그런데 서버에서 MKV파일을 다운받아 두었다면.서로 연결해서 볼려면 기기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파일형식이라고 나옵니다.이때 서버[시놀이나 그외서버에서]영화파일을 실시간으로 변환해서 기기에 맞는 형식으로 보내주는 방법인것 입니다.

또 서버에 영화를 볼려고 접속해서  LTE로 연결을 해서 볼려면 집에 있는 1080P 20Mbps로 촬영해둔 동영상 파일을 전송하기에는 영상 크기상 문제가 있어서 서버에서 실시간 해상도로 떨어뜨려주고 비트레이트도 떨어뜨려주고 해서 원활하게 영화를 볼수 있도록 서버에서 외부에 있는 기기에 영상을 전송해주는 역활을 하게되는것 입니다.

그러다보니 cpu의 성능에서 차이를 많이 보입니다.

실제로 i3급 cpu도 1~2명이 사용하면 cpu가 99% 부하를 보입니다. 다른작업이 느려진다는것입니다.

그래서 상용나스대신 자작나스를 많이 사용합니다. 대부분 상용나스cpu가 아톰이나 쎌러론급이 대부분이기때문에...

최소 4코어 제품이상 사용하시는게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PMS는 트랜스코딩을 지원을 해주는것 입니다.
그러나 가정에서는 기가망을 사용시트랜스 코딩이 필요가 없습니다.

원본재생설정(Direct Play)으로 두고 보면 됩니다. 단 자막설정이 [SMI] 필요합니다.